카테고리 없음2010. 3. 25. 15:03
이전 글이 너무 결론이 없는거 같아서 외전을 써봅니다.
(물론 이 글은 제 짧은 소견임을 미리 방어적으로 밝힙니다.^^)

어떻게 해야 너도 나도 먹고 살고, 우리나라 수출산업을 부흥시키고
가진건 사람밖에 없다는 이 나라에서 기술한국 IT을 만들까요.

1. 과감하게 포기하라.

현재 하고 있는일들을 일부는 포기하고 정말 어느 방향이 옳은 방향인지 잠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잠시 다른 이야기인데요. 한 20년전에 박수동님 책에
'영국인은 뛰기 전에 생각하고 독일인은 뛰면서 생각하는데 프랑스인은 뛰고 나서 생각한다.
그런데 한국사람은 뛰고나서 왜 뛰었는지 모른다' 라는 유머가 있었습니다.
지금은 물론 상황이 바뀌었겠지만, 
아직도 우리나라에는 '뛰고나서 왜 뛰었는지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 물론 '아 이유는 알지요.. 위에서 뛰라니까요'라는 사람도 있겠습니다... 제가 그러합니다... )

그런데 생각할줄 몰라 모르는게 아닙니다. 무조건 전력질주를 하도록 시키니까 뛸때 생각할 겨를이 없는겁니다.
그길이 좋은지 좋지 않은지도 모르고 무조건 전력질주하기 바쁜것이죠.

예를 들어봅시다.
국내 대기업 능력많은 김과장님 어제도 오늘도 핸드폰 '열'심히 만들고 계십니다. 납기에 맞추기 위해서요. 
그리고 허덕허덕 하루하루 땜빵작업에 시달립니다.
총알 날아다니는 전쟁터에서 일개병사가 아무리 스티브잡스면 뭐합니까 오늘을 살아남아야죠.
그런데 아이폰이 히트치고, 개나소나 안드로이드가 어찌어찌 하고, 우리나라 대기업들은 욕만 들어먹는다고 합시다.
윗분들... 머하실까요?  '머 김과장이 똑똑하다고?, 대책마련좀 해보라고 해'
자.. 우리의 바쁘신 김과장님... 좋은 생각이 나올까요?


김과장님한테서 좋은 생각을 빼내려면 기존에 하던일을 과감히 접어야 합니다. 물론 그게 현실에서 쉽습니까?
그래서 포기라고 부릅니다.

국내에서는 대기업만큼 인력 풀이 좋은 곳이 없습니다.
그러나 웬만한 T/F하면 흐지부지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냥 그저그런 결론을 내놓고요.
 T/F한다고 기존에 일하던 인력 모집하는데 두가지 일이 한꺼번에 되나요?
좀 한가한 사람이 땜빵하고, 하던 실무 하기 바쁘고, 제 아무리 똑똑한들 능력이 좋든 잘 되기가 쉽지 않죠.

자 우선 버릴것을 생각할 때라고 보입니다. 여유가 있어야 생각이 나오고 생각이 나와야, 다시 한번 덤벼들어 보죠.
뛰면서 생각하라구요?  뛰면서 생각하는 것은
'적당히' 뛸때, 또 뛰면서 생각하는 훈련이 되었을 때입니다. 100미터 달리기를 하듯이 숨참고
전력질주하면서 생각할 겨를은 없습니다.

2. 상상하고 실행하라. 그리고 검토하지 마라.

기업 트렌드는 순환합니다. 정반합의 논리인지 단순 사이클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어쨌든. '트렌드'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이고 그 당시에 적합한 '법칙'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이죠.
세상은 오묘하게 밸런스가 맞고 있습니다. 그 밸런스가 약간 흐트러지는 것만으로도 세상에는 변화가 오며,
같은 모습은 아닐지라도 방향은 결국 회귀하게 되어 있습니다.
(저는 자신 꼬리 쫓는 강아지라고 얘기합니다만...)

이유는 간단합니다. 한가지 법칙이 통하여 성공하는 예가 나오게 되면, 누구나 그것을 따라가게 되고,
그것은 더 이상 성공하는 법칙이 아니게 됩니다. 그게 일반화가 되고 나면 차별화를 찾는 누군가들은
그것에 반대되는 특징에서 새로운 법칙을 이끌어내게 됩니다. (물론 많은 시도가 실패하겠지만) 결국엔
성공한 법칙하나는 다시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게 됩니다.

최근 한국 IT를 초울트라 메가 파워 콤보 공격으로 날려버린 '스마트폰'에서 그 예를 찾아봅시다.
잠시 또 샛길로 새서..
저는 전문가는 아니지만 하이테크가 아닌 대중테크에서의 기술이라면,
80~90년대 IT는 'PC'로, 90~00년대는 '통신', 00년대 이후에는 '모바일'로 대변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PC는 말그대로 '폐쇄적인 컴퓨터'를 'personal computer'로 대중화시키며 패러다임을 바꾸고 성공했으며,
그 시대의 절대 성공자인 'MS'는 지금의 폐쇄성과는 달리 '개방'적 성격으로 성공하게 됩니다.
(여기서 '개방'이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도록 함을 이야기 합니다. 싼가격을 통해서건, 불법카피를 통해서건...)
그러나 그 뒤에 다시 폐쇄성을 통해 성공을 하죠.
똑똑하게도 사람들이 PC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쉬트, 웹브라우저등을
차근 차근 먹어나가기 시작합니다.
(적어도 저는 MS word의 훌륭한 기능으로 인해서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시작하지 않았습니다.
아래한글이 워드프로세서로써는 절대 우세하지 않았나요?)
90년대 PC용 OS의 발전은 멈췄으니까 PC 이야기는 그만하겠습니다.

TO BE continued.... someday







Posted by 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