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ling IT2010. 3. 15. 11:02

sixth sense interface라는 것,  ( http://hisjournal.net/blog/294 )

정말 놀랍군요. 감탄사외에는 나오지 않습니다.
(물론 기술자로써 이러한 기능이 아주 쉽게 구현되지는 않을것일는 것에는 동의합니다만.
요즘은 기술의 발전과 기술의 구현 격차가 워낙 좁아지고 있는 상황이라 쉽게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제가 말하고자 하는것은 이러한 미래형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이러한 기술 발전 시대에 살고 있는 한국 엔지니어들의 미래, 혹은 기술 한국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 Stereotype
우선, 제가 놀라워 하는것은 이러한 기술은 아닙니다. 저도 해당 산업에 속한것은 아니지만 PDA라는 제품이
대중화될때부터 미래형 인터페이스에 관심을 가지고 항상 디바이스 없는 인터페이스를 상상하곤 했습니다.
(저는 이를 air device라 칭합니다.)
그러나 엔지니어 생활 10년이 지난 지금에도 이러한 비디오를 눈으로 보기전까지는
'저런 기술은 그냥 기술 연구에나 사용하는 수준이야' 라는 편견이 마음속에 팽배해 있습니다.
제품으로 태어나는 기술은 '획기적인 기술'이 아니라는 고정관념이 저에게 박혀버린것 같네요.
왠지 첨단기술은 '이상', 제품은 '현실'이라고나 할까요?

- Lack of imagination.
그리고 이러한 보물이 숨어있던 MIT. 이것들은 갑자기 튀어나온 것일까요?
벌써 한 4년전쯤 인가요? MIT media lab 스폰서인 회사에서 매년 견학을 가는데요.
저도 참석하여 관람하고 보고를 했었습니다.
지금은 너도 나도 아는 AR이란 개념, 그때는 아는 사람이 드물었으나,
MIT에서는 많은 실험이 일어나고 있었고, 감성과 과학을 결합하는 수많은 프로젝트들이
진행되고 있었고, 연구소에서도 중장기 미래기술로는 AR이 종종 보고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MIT의 그 많은 씨앗을 보고온 기술자들도, AR을 보고서에 쓰고 있는 연구원들도
누구도 iPod의 AR 어플리케이션이 이렇게 빨리 상용화되고, 사람들의 관심을 끌며 흥분시킬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저를 비롯한 많은 기술자들은 보고서에 이렇게 썼습니다.
'미래형, 관심위주 기술이나 단기간 구현 적용 가능성 적음'
네. 저와같은 사람들이 모여 한국 IT를 망치고 있었네요.

- Draw a line with short sight.
그러나 저 기술자가 한 4년전쯤에 우리나라 대표 기업에 왔다면,
두가지 질문을 들었을 겁니다.
'현재 제품에 적용할 수 있겠는가?', ' 언제쯤 상용화가 가능하냐?'
네 저라도 물어봤을것 같습니다. 그리고는 같은 보고가 올라가겠죠.
그러나 저기서 강연하는 저 사람도 우리 대부분의 회사에 들어왔다면
5년뒤 같은 이야기를 하는 사람으로 변해있을것이라는 핑계를 대봅니다.
(물론 그전에 나갈것입니다만...^^;;;;)

- Mission
가장 빠르게 변하므로 가장 현실과 밀접한 기술의 최첨단이라는
 모바일 업계를 발칵 뒤집어 놓은 최근의 애플과 구글의 행보를 보면서,
요즘 내가 가야할 길은 무엇인지 참 고민이 많습니다.
우리나라 최대의 실적기업의 최고 연구소에서조차 납기를 맞추는 업무에
급급하다면, 우리나라 IT의 미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나라가 부족하다면 개인이, 회사가 부족하다면 리더가,
내 앞의 밥그릇과 당장 내년의 보너스보다는,
미래를 조금더 상상하고 조금 더 큰 그림을 대비하고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p.s.
제목의 "한국 IT산업의 미래"요?
네 뻔한 대답입니다. '우리'한테 달렸지요.
지금 여러사람들이 말하고 있는 s/w 역량이나 기반기술... 우주항공기술이나 이런거 만큼 어려운거 아닙니다.
물론 기업의 s/w 역량을 키우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개인의 s/w 역량을 키우기는 상대적으로 쉽지요.
(죄송합니다만 감히 그렇게 말하겠습니다.)
그리고 감히 '한국 IT' 를 말하기는 어려움이 있어서 '한국 IT 산업'의 미래를 말하고 있습니다. ^^
한국 IT 산업의 미래는 '우리'에게 달려있습니다.
 
Posted by 펜군
telling IT2010. 3. 2. 21:04
"의료서비스 시장의 전통적 수요층의 변화로 헬스케어 기기 및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다양한 관
련 사업 기회가 등장하고 있다. IT, NT, BT 기술의 진전은 첨단 기기 및 다양한 서비스를 실제로
구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전자/IT 기업들 또한 미래의 성장성을 인
식하고 헬스케어 관련 사업 진출을 타진하고 있다.

전자/IT 기업들이 진출 가능한 헬스케어 기기 및 시스템 시장은 영상진단기기, 생체신호계측기
기, 각종 정보시스템 등 병원용 분야와 만성 질환 관리, 재활 및 일상 생활 보조, 일반인들의 건강
관리 등 가정용/개인용 분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Ⅰ. 왜 헬스케어 시장에 주목하고 있는가

1. 수요층의 다양화
- 의료서비스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출산율 감소와 평균수명 증가로 고령 인구 및 만성 질환자의 비율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서 의료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
.고령화가 이미 상당히 진행된 미국, 일본, 유럽이 전세계 의료기기 시장의 84%를 차지
.의료 소비자의 관련 지식 향상으로 보다 고품질의, 맞춤형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의료서비스의 성격을 변화
-->  기존의 의료서비스가 의료기관(병·의원) 중심이라면, 미래의 의료서비스는 의료 소비자(환자) 중심으로 변화, 확대
--> 수요층이 가정과 개인으로 확대

2. 기술 혁신

3. 정책적 지원


Ⅱ. 헬스케어 기기/시스템 시장 현황

의료기기는 지식경제부의 산업기술분류 기준에 따라 생체신호기기, 의료영상기기,생체재료/기기, 재활 및 복지 의료기기 등 11개 군으로 분류된다
의료영상진단기 : 엑스선촬영장치, CT, MRI, PET, 초음파촬영장치 등
생체신호계측기 : 심전계, 뇌파계, 환자감시장치 등
가정용의료기 : 전자혈압계, 혈당측정기 등
재활 및 보조장치 : 전동휠체어, 초음파지팡이 등
인공장치 : 감각, 순환계, 기타 인공장기 등
영상의료정보시스템 : PACS, EMR 등

1. 산업의 특성

.전자공학·기계공학·물리학·화학 등 공학기술과 의학·생리학 등의 의학기술이 복합되어 구현되는 특성
.소량 전문 제품 위주의 생산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
--> 이는 곧 사업을 성공할 경우에는 수익 창출이 가능하나, 그만큼 투자 위험도 큰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전성의 확보가 매우 중요
.유효성에 대해서도 엄격한 평가 기준
.헬스케어 기기/시스템 산업은 다양한 기술의 융복합 시도 및 첨단 기술 운영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고, R&D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의 회수가 가능한 선진국 등의 시장에서 주도
.자금력, 연구개발 인력의 확보 및 산업계-학계-의료계의 제휴가 매우 중요

2. 시장 규모
.세계 생산 및 소비의 약 47%를 미국이 차지, 유럽이 30%,
.미국은 전 분야에 걸쳐서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고, 유럽은 특히 치료기기 분야에 강세, 일본은 초음파 진단기 및 내시경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특히 내시경은 전세계 시장의 80%를 독점).

3. 유망 시장
(1) 병원용
① 진단 : 영상진단기기
② 계측 및 모니터링 : 생체신호계측기기
③ 정보 관리 : 병원정보시스템

(2) 가정용/개인용
① 만성 질환 관리
② 재활 및 일상 생활 보조
③ 건강 관리

Ⅲ. 기업들의 대응 전략
.각 제품 및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
.병원용 분야는 이미 시장에 진출한 몇몇 소수 업체들의 지배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후발 주자의 입장에서 진입이 용이하지 않음
.가정용/개인용 분야는 이제 막 시장이 형성되는 단계라 미래 성장성이 높고, 병원용에 비해 경쟁 강도도 낮다는 점에서 주목, 기술 표준화 및 법·제도 기반이 취약하고, 이에 따라 아직까지 수익 모델이 제대로 검증되지 못한 측면.
--> 전자/IT 기업들이 헬스케어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유망성을 고려한 사업 아이템의 선정뿐 아니라, 필요 역량 확보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리스크 요인을 다각도로 검토하여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
● 핵심 기술 역량의 확보
● 다양한 수익 모델의 발굴
● 관련 법/제도에 대한 이해와 대응

Ⅳ. 시사점
-국내 중소기업은 영세성으로 인해 국내 헬스케어 기기/시스템 산업의 국제 경쟁력은 매우 낮음
-과거 전문 의료기기 업체들의 실패는 영세한 규모, 자금 부족, 연구개발 인력 부족이라는 구조적 문제에 기인
-국내 전자/IT 업체들이 헬스케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할 것
--> 내수 시장에서는 다양한 시장 기회가 창출될것으로 예상되는 의료정보시스템 및 중개서비스 중심으로 접근하고, 해외 시장에서는 선진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부품 및 센서 등 H/W 중심의 개발을 타진하는 것이 일차적인 접근 방식

'telling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IT 산업의 미래...  (0) 2010.03.15
아이패드, 그 힘은...  (0) 2010.02.04
Posted by 펜군
telling IT2010. 2. 4. 13:03
아이폰이 절대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요즘,
아이패드의 정체에 대해서 관심이 없을 수 없었다.
 
인터넷의 많은 평가가 '기대보다 임팩트가 없다' 이다..
그런데 아이패드의 힘이 뭐냐?
짧게 결론부터 이야기 하면 '나도 모른다'이다.
그러나 그것과 경쟁하는 것은 우리회사 제품이 될것만은 부정할 수 없기에
기획자나 개발자라면 그 숨겨진 힘을 간과하지 않았으면 하는 이유에서 글을 쓴다.
 
(1) 애플의 목표는 서비스다
 
아이패드에 관한 많은 평가는 '특별한 기능이 없다' 로 요약된다.
그러나 아이팟이 나왔을때 기능면에서 우리나라 MP3에 상대가 안되었던것,
아이팟의 성공은 롱테일 전략으로 절대적인 차별화를 가져온 아이튠즈라는 서비스였다.

(물론 하루아침에 따라잡을 수 없는 오래된 철학을 가진 디자인도 있었지만,
아이맥 정도의 효과밖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이 역시 세간의 이슈가 되며 시장판도를 많이 바꾸었다,
그러나 아이팟, 아이폰은 그 이상이다.)
 
강력한 패러다임 전환으로 평범한 PMP를 전세계를 위협하는 휴대폰으로 만든
앱스토어 역시 잊으면 안된다.
 
그 기기가 무엇이 안되고 무엇이 안되고를 보지말고,
과연 그 기기로 무엇을 어떻게 서비스하려고 하는 것인가에 주시하자.
 
(현재는 이미 분석이 많이 올라온 상태이다
잡스와 애플이 밝힌 e-book, e-paper로 많이들 주목한다. 그러나 그 이상을 상상해 보자)

(2) 그것은 태블릿 PC가 아니다.
 
많은 기사나 평가가 그것을 (이미 십년전에 나온) 태블릿 PC로 명명하고 있다.
개념에의 차이를 두기 위해 태블릿 PC라는 카테고리는 없애버리자.
 
스티브 잡스가 밝힌대로 이것은 '랩탑과 모바일을 이어주는' '새로운 카테고리'의
기기로 생각해보자.
정말 그런가? 아무리 봐도 싸고 가볍고 이쁜 '태블릿 넷북'에 불과하다.
 
그러나 아이팟이 그러했듯이
그러나 아이튠즈를 만든 애플이, 앱스토어의 전세계 엔지니어들이,
그것을 무엇으로 변화시킬지 상상이 가지 않는다면 그것을 '넷북'으로
치부하는 것은 상당한 오류일 수 있다.
 
(3) 그것은 '모바일' 기기이다.
 
잡스가 단순히 꺼낸말은 아닐것이다. '애플은 모바일 회사이다'라는 이야기
휴대용 기기와 PC는 거리가 있다. 그 갭을 매꾸기 위해 PC는 '노트북'으로
휴대폰은 '스마트폰'으로 변형되어 왔으나,
스마트폰을 PC로 취급하기에도 부족함이 있고
노트북(넷북, 랩탑)을 모바일 기기로 명명하기에도 부족함이 있다.
 
이 역시 십여년 가까이를 풀지 못하던 숙제이다.
만약 아이패드가 이 새로운 카테고리에 도전하는 것이라면
그 숨겨진 시장 창출은 아이폰과 애플 컴퓨터의 시장 확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4) 그를 과소평가 하지 말자
 
맞다, 나는 그의 팬이다. (솔직히 별로 하는거 없는 조용한 팬이라고나 할까)
MAC을 좋아하고 NEXTSTEP에 놀라워했던 그런 PC쟁이들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러한 나의 편파적인 시각이 아니더라도,
그는 천재이다.
위젯 개념을 20년전에 만들어서(NEXTSTEP), 10년전에 시장을 만들고(OS X),
최근 전세계로 유행시킨(iPod) 장본인이며,
모두아는 8bit 애플 컴퓨터로 PC시장을 주름잡았고
픽사와 디즈니로 가서 그의 감성과 문화적인 능력을 단련하고 성공 케이스를 만들고 돌아와
다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고 있는 천재이다.
 
p.s.

이 글은 아이패드가 발표되자 마자 올렸던 블로그를 옮기는 글이다.
이제는 엄청나게 많은 블로거들이 그에 대한 다양하고 좋은 글들을 남긴다.

그러나 e-book의 의미에 대해서는 많은 분석이 일어나지 않는다.
10여년전 딴지 일보의 사장께서 국내 모든 디지털 판권을 가지려고 구상했었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었다. (그 분의 학교 후배인 내 선배로 부터...ㅡ.ㅡ;)
그 놀라운 생각이 뇌리에 남았고, 아마존이 돈을 벌고 있을때
그 이야기를 떠올렸었다.

그런데 조금 더 생각해보자.e-book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
인간의 역사는 기록의 역사와 기록 이전의 역사로 나뉘며,
지식의 축적과 인간 사회의 발전은 기록과 책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리고 내가 전자책을 처음 접할 무렵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 했다.
'책을 컴퓨터로 볼 수는 없어, 우리만 해도 컴퓨터를 너무 오래보면 눈아프잖아.
책이란게 없어지지는 않을거야. 그리고 컴퓨터로 공부를 하면 머리에 안들어오잖아'
(그것은 책이라기 보다 텍스트 파일이었다.)

그러나 우리는 이제 책을 읽지 않는다. (솔직히 덜 읽는다가 정확하다.)
인쇄 활자보다 디지털 기기의 전자 활자를 훨씬 많이 읽고 있다. (그 내용의 질이야 어떻든 간에)

길게 쓰지 않는다. 이것은 단순한 추가 comment에 불과하므로,
또 내 짧은 식견이 맞을리도 없으므로.

그러나 그렇게 생각해본다. 잡스가 꿈꾸던 세상은 '전자 세상' 아니었을까 하고...
그리고 아이패드는 제한된 사용자가 아닌 가족이 모두 사용하는 디지털 세상
그 첫걸음이 아닌가 하고...

Posted by 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