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ry news2010. 6. 1. 13:50

결정적 증거!에 대한 기사를 보고 내가 생각한 진실은 이렇다.

(1) 북한에서 김덩일은 우찌 남한을 골탕먹일까 고민하다가...
폭발에도 지워지지 않는 파란색 매직의 개발을 명령한다.
... 북한의 과학자들이 밤샘과 혼신의 힘을 다한 결과 그 매직은 만들어진다.
마치 매직처럼... (엄청난 폭발에도 남아 있는 글씨에 과학자는 눈물이 났을 것이다.)

(2)
때를 노리던 김정일, 안도와주는 엠뷔정부를 엿먹이기 위해
'1번'이라 쓰인 어뢰로 남한의 함정을 침몰시키는데 성공한다.
그의 계획은 이것이었다...
어뢰의 잔재를 확인한 남한은 1번이라 생생히 써있는 글씨를 보고 북한것으로 추정할 것이다.
(설마 누가 장난을 치지는 않았을테니)
그러나 폭발한 어뢰에서 그것도 손으로 쓴 매직 글씨를 증거물로 내세울수는 없는법.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엠뷔는 분함을 못이기고 혈압이 올라 쓰러질 수도 있지 않은가.!

(3)
북한의 계획대로 어뢰의 잔재를 발견한 남한.
그러나 북한의 계획과는 틀리게 확신에 찬 엠뷔는 외친다.
'북한의 소행이란 결정적인 증거닷!!!'

(4)
김정일...' 이런 ㅆㅂ.. 설마.. 저럴줄이야'
.....
.....



ㅎ.. 쓰다만 글들도 많고만 이런글을 쓰게 하다니 .. 당신은 쵝오!!!
그게 사실이건 아니건 나는 정치적인 사람도 지나친 애국자도 아니다. 색깔도 회색에 가깝겠지...
그러나 먹고 살기 바빠 뉴스를 타이틀만 읽는 내가 ' 아 그랬대더라...' 라고 하다가
며칠뒤 그 신문기사를 클릭했을 때, 사진을 보고 얼마나 기가 막혔는지...
비전문가인 내가 백번양보해서 그게 '증거'라고 한들,
'결정적'이라고 이름붙인 당신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한가지 뿐이다.

'그래서 좋은 국민학교를 나와야 혀...'



Posted by 펜군
awry news2010. 3. 26. 15:2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id=smn&sid1=100&oid=023&aid=0002135918&datetime=2010032614500235918

북한이 살기 힘들다는 얘기가 여기저기 들려온다.
정치도 불안하고 어찌 어찌 하다는 얘기도 들려오고, 먹을게 없어 어찌 어찌 하다는 이야기도 들려온다.

지구 저 반대편에 재해가 일어났다고, 저기 먼나라에 먹을게 없다고, 군대와 식량과 돈과 자원봉사를 지원하는 우리나라가,
어찌하여 엎드려 코닿을 거리에 있는 우리 부모의 형제들은 굻어죽도록 내버려두고 있는걸까?

난 정치에 외교에 일말의 관심도 없는 사람이다.
(솔직히 그건 과장이나.. 귀닫고 눈감고 사는 회색분자라 분류될수 있다)
그냥 내가 내 분야에서 열심히 일을 잘해서 많은것이 수출되고 우리나라가 부강해지고, 잘 살았으면 좋겠는
그런 사람이다. 그런 사람이 하도 열받아 생각하는 이유를 풀어보자.

과연 우리나라가 엄청나게 잘사는데 아프리카 어린이는 도와주며 저 북한 어린이는 돕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물론 정치 외교적인 이유이다.
우리가 주는 쌀이 군량미로 사용될까봐, 우리가 원조해주는 돈이 들어가면 한국/미국 정부 말을 안들을까봐 안주는 것이다.

자 이해는 간다. 북한과는 묘한 밸런스가 유지되어야 하는 관계이다. 그들이 힘을 가져서도 안되지만, 그들의 힘을 잘못빼면, 우리 동포들이 굶어죽는다.

그렇다면 엠비는 왜 그들이 굶어죽게 놔두는 걸까?
그는 미국인이라 한민족은 별 신경 안쓰나? 일본인이라 조선사람은 신경안쓰나? 이리 저리 가서 굽신굽신 하는거 보면
그래 보이기도 한다.
우주인이라 지구인의 목숨은 그냥 들판에 뛰노는 원산지 지구, 음식으로 보이는건가? 생긴걸 보면 그래 보이기도 한다.

내가 생각하는 이유는 그렇다. 그는 기업가였다. 그것도 개발도상국의 개발도상국에서 쪼금 잘사는 나라로 가기위해 발버둥치는 기업의 기업가였다. 나도 사회생활 십수년해봤지만 그 위치까지 가기 쉽지 않다는 것을 안다.
그 위치까지 가기위해서는 어떻게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자, 그런 세계에서 그런 마인드를 뼈에 깊게 사무친 그가 기업을 떠나 정계로 갔다.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결론은 똑같다. 똑같은 방법으로 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럼 그 에게 '목표'는 무엇인가.
우리 나라를 위하는 것은 무엇인든 그의 목표가 될것이다. (그의 말을 따르면)

문제는 너무나 단편적이라 세상과는 맞지 않는다는데 있다.
잠깐 딴 길로 새서 말하자면, 기업에선, 이윤을 내면 된다. 사원이 잘살건, 힘들건, 내가 세상에 기여를 하건, 우리 회사가 비리를 저지르건 상관 없다. 무조건 '이윤'을 내면 된다.
'사회로의 환원?' '사회를 위하는 공헌?' 다 멍멍이 말씀이시다. 기업이 사회에 공헌하려 하고, 소비자를 위하며, 자원봉사를 하는 이유는 '기업이 이윤을 내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목적'을 위한 장기적이고 약간 더 깊고 우회적인 마케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다시 돌아오자.
'뭐? 사람들이 못산다고? 돈이 없어? 직업이 없어 그렇다고? 취업난이 심각하다고? 실업율이 높다고?'
그에게 답은 무엇인가?
' 취업을 시켜 무조건!, 실업을 없애 무조건!' 이다.
그게 어떤 형태든, 그 직업을 통해 그 사람이 장기적으로 일을 할수 있건 없건, 그 일이 우리 사회를 살찌우는 일이건
아니건, 그건 중요하지 않다.

'뭐? 북한이 말을 안들어? 말을 듣게 해야지!' 가 목적인 것이다.

자, 나는 욕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을 싫어한다.
어떻게 하면 엠비가 좀 더 나은 길을 택할 것인가?

나는 그에게 목적을 '사람'으로 바꾸라고 권하고 싶다.
'취업율이 아니라, 사회생활을 하려고 하는 사람',
'북한이 아니라 북한에 사는 우리 민족인 사람'
'수출 실적'이 아니라 '우리가 수출해서 잘살게 하고자 하는 사람'
'4대강이 아니라 4대강을 이용할 사람과 득볼 사람,그리고 해가 되는 사람'


이래도 당신이 그따위로 정치한다면, peanuts의 루시가 해준 말을 해주고 싶다.



Posted by 펜군
awry news2010. 2. 5. 17:39
<원본>
http://news.joins.com/article/aid/2010/02/04/3617438.html?cloc=nnc
카리스마 프레젠테이션 … 세계는 왜 잡스에게 열광하나 [중앙일보]

<요약>
2010 아이콘 떠오른 스티브 잡스 내면탐구

잡스가 신제품을 선보이는 발표회는 그 제품의 창조자인 잡스 자신을 가장 잘 보여주는 한 편의 연극 무대와 같다
순하고 깔끔한 검정 소파에 다리를 꼰 채로 앉아 있다. 이제 그의 분신처럼 된 검정 터틀넥 셔츠에 허리띠 없는 청바지,
그리고 캐주얼 뉴발란스 운동화. 다른 소품이나 장치는 없다

#잡스 자신을 보여주는 프레젠테이션
#엔지니어 실용성과 아티스트 감성 갖춰

잡스는 지난달 프레젠테이션 말미에 “기술과 인문학(liberal arts)의 교차점을 찾기 위해 노력했기에 애플이 아이패드를 만들 수 있었다” 많은 사람은 애플 제품의 성공 요인을 성능에서 찾으려 한다. 그러나 사용 시간이 늘어날수록 제품 곳곳에 배어 있는 편의성을 느끼게 된다. 매뉴얼에는 없지만 사용하다 보면 사소한 부분에서 편리함을 발견하게 된다.

애플 출신의 한 연구원은 “엔지니어가 잘난 체하며 많은 기능을 보여주면 잡스는 자동기능으로 만들라 합니다. 어려운 일이라 자동화는 실제로 80% 정도만 구현됩니다. 그러나 사용자는 그 정도로 만족한다는 걸 잡스는 안다”고 말한다.

신제품이 출시되면 분석가는 수치적인 성능에 집중한다. 프로세서 속도, 카메라가 달렸는지,
디스플레이 방식은 무엇인지. 아이패드의 화면이 4:3에 가까운 비율이라 16:9 와이드 영상 비율이 아닌 점만 주목한다.
그러나 아이패드의 화면 비율이 보편적인 책의 사이즈와 같다는 점은 간과한다.

잡스는 보이지 않는 사소한 것들에도 혼신의 힘을 쏟아붇는다.
예술가적 완벽주의인 동시에 기술의 문제를 사용자 입장에서 고민하는 과정이다.
아이팟 뒷면의 거울 같은 표면 처리를 위해 일본의 장인들이 밀집해 있다는 니가타현에 의뢰해 완성시키기도 했다.
모든 것이 준비된 다음에야 잡스는 자신 있게 대중 앞에 나서 외친다. “보세요. 우리 제품의 뒷면은 타사의 제품 앞면보다 아름답습니다.”


<comment>
이제 중요한 것은 그것이다. 더이상 아이패드의 화면이 4:3에 가까운지 16:9에 가까운지 보지 않는것.
기술이 아닌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품을 봐야 할 시장이 열리는 것이다.
그리고 100% 자동화를 요구하는 잡스의 완벽성은 빠르게 변한다는 핑계를 대는 이 시장에서 의미를 갖기 시작한다.

Posted by 펜군
awry news2010. 2. 5. 17:38

<원본>
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10&no=62729
꿈을 주는 CEO 스티브 잡스

<요약>
애플이 업계 후발로 성공을 거두는 이유는 제품에 플러스 알파인 '꿈'이 담겨있기때문.
아이패드 제품 발표회 현장에서도 잡스는 기자들 사이를 누비며 '꿈'을 강조

기술 평준화 시대에 좋은 제품은 최신 기술을 담은 제품이 아니다.
필요한 기능에 감성과 철학, 예술을 녹여 사람들이 행복한 꿈을꿀수 있게 해주는 제품
이 훌륭한 제품이라는 이야기.

<comment>

꿈을 이야기 하기에는 아직 부족하지 않은가 애플...
모든 기술자들은 마징가 그 이상을 꿈꾼다...
그러나 애플의 기술에 평균보다 많이 철학과 감성이 녹아있다는데는 동의.


Posted by 펜군
awry news2010. 1. 28. 11:21
기사 원문 - http://it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020300&g_serial=470373
제목 - 삼성 LG 휴대폰 운영체제 차별화돼야.
       - 브랜드와 유통채널 입지 강화, 탈추격형 모델로 진화

기사 골자는 이렇다.
KISDI에서 나온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휴대폰 업체는 강력한 후발주자인 애플,구글,MS를 이기기 위해
단기적으로는,
- 혁신제품과 관련된 트렌드를 빠르게 추격하되
- 기존의 브랜드, 유통채널을 바탕으로 입지를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 제품혁신을 통해 탈추격형 모델 강화
- 혁신을 대비한 인재양성, 투자, 지식 축적을 강조.

다 맞는 말이다. 그러나 너무 뻔한 이야기가 아닌가 싶다.
현재의 프레임을 깨뜨리는 강력한 경쟁자가 나타났으니,
어쨌거나 기존의 방법으로는 안되니 새로운 방법을 찾고,
그래도 현재의 강점은 최대한 공고히 하라는건,
왠지 교과서만 열심히 보면 된다는 것과 같은 느낌이랄까?

그러나 평범한 것이 가장 진리이듯이, 어쩔수 없이 대안은 없다.
우선은 흔들리지 않고 현재의 강점을 살려나가야 한다.
아직도 전세계 휴대폰의 80%는 노멀폰이며 저가/중가/고가의 포트폴리오는
메이저 업체라면 1/3씩 나누어 가져갈 것이다. (적어도 전략은)

그러나 많은 지각 변동이 일어났고 앞으로 예고 되듯이 이러한 전략은 적의 침투를
조금 지연시킬 뿐이지 신무기를 들고오는 적앞에 단기 이상 통할수 있는 전략이 아니다.

그러므로 교과서적인 레포트가 강조하듯,
(무엇인지는 모르나ㅡ.ㅡ;;;) 새로운 무기를
우리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내가 이 기사를 걸고 넘어지는 이유는... 사실 제목에서 보듯
'운영체제 차별화되어야' 가 아닌데 이유가 있다.

MS의 관계자가 이야기 했듯이 'OS'는 아무나 하는것이 아니며,
OS가 PC의 전부였던 PC쟁이?들이 평가하던 Mac OS (그때는 OS X나 이런게 아니고 그냥 Mac OS 5/6/7 이었다.)는 MS의 윈도우는 발끝에 때속에 먼지만큼도 못따라오던 그러한 수준의 OS였다.
(80년대 PC를 만지던 사람중에 PC계의 양대 산맥 빌게이츠와 스티브 잡스중에 빌게이츠를 좋아하던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그래서 OS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은 머라고 할까.. 뜬구름 잡기라고 외에는 이야기 하기가 어려울것 같다.

이 교과서적인 레포트가 보여주는 또 하나의 기본은 우리나라 기업은
'인재 양성'과 '지식 축적'에 힘써야 한다는 것이다.

많은 국내 엔지니어들이 이야기 하듯이, 우리나라 엔지니어는 '공돌이' 수준을 벗어나기 어려우며,
이를 벗어나서 능력을 키운 사람들은 그 능력을 쓸데가 없는게 현실이다.

그러나 또 우리나라 사람처럼 미치면 미친듯이 엔지니어의 많은 수가 소위 '노력형 천재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드물것이다.
미래에는 우리도, 야근하지 않는 엔지니어들이 많은 나라가 되길 바라며...



'awry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1번 어뢰의 진실?  (0) 2010.06.01
엠뷔는 미국인인가.  (0) 2010.03.26
카리스마 프리젠테이션 - 잡스  (0) 2010.02.05
꿈을 주는 CEO 스티브 잡스  (0) 2010.02.05
Posted by 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