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서비스 시장의 전통적 수요층의 변화로 헬스케어 기기 및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다양한 관
련 사업 기회가 등장하고 있다. IT, NT, BT 기술의 진전은 첨단 기기 및 다양한 서비스를 실제로
구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전자/IT 기업들 또한 미래의 성장성을 인
식하고 헬스케어 관련 사업 진출을 타진하고 있다.
전자/IT 기업들이 진출 가능한 헬스케어 기기 및 시스템 시장은 영상진단기기, 생체신호계측기
기, 각종 정보시스템 등 병원용 분야와 만성 질환 관리, 재활 및 일상 생활 보조, 일반인들의 건강
관리 등 가정용/개인용 분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Ⅰ. 왜 헬스케어 시장에 주목하고 있는가
1. 수요층의 다양화
- 의료서비스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출산율 감소와 평균수명 증가로 고령 인구 및 만성 질환자의 비율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서 의료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
.고령화가 이미 상당히 진행된 미국, 일본, 유럽이 전세계 의료기기 시장의 84%를 차지
.의료 소비자의 관련 지식 향상으로 보다 고품질의, 맞춤형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의료서비스의 성격을 변화
--> 기존의 의료서비스가 의료기관(병·의원) 중심이라면, 미래의 의료서비스는 의료 소비자(환자) 중심으로 변화, 확대
--> 수요층이 가정과 개인으로 확대
2. 기술 혁신
3. 정책적 지원
Ⅱ. 헬스케어 기기/시스템 시장 현황
의료기기는 지식경제부의 산업기술분류 기준에 따라 생체신호기기, 의료영상기기,생체재료/기기, 재활 및 복지 의료기기 등 11개 군으로 분류된다
의료영상진단기 : 엑스선촬영장치, CT, MRI, PET, 초음파촬영장치 등
생체신호계측기 : 심전계, 뇌파계, 환자감시장치 등
가정용의료기 : 전자혈압계, 혈당측정기 등
재활 및 보조장치 : 전동휠체어, 초음파지팡이 등
인공장치 : 감각, 순환계, 기타 인공장기 등
영상의료정보시스템 : PACS, EMR 등
1. 산업의 특성
.전자공학·기계공학·물리학·화학 등 공학기술과 의학·생리학 등의 의학기술이 복합되어 구현되는 특성
.소량 전문 제품 위주의 생산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
--> 이는 곧 사업을 성공할 경우에는 수익 창출이 가능하나, 그만큼 투자 위험도 큰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전성의 확보가 매우 중요
.유효성에 대해서도 엄격한 평가 기준
.헬스케어 기기/시스템 산업은 다양한 기술의 융복합 시도 및 첨단 기술 운영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고, R&D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의 회수가 가능한 선진국 등의 시장에서 주도
.자금력, 연구개발 인력의 확보 및 산업계-학계-의료계의 제휴가 매우 중요
2. 시장 규모
.세계 생산 및 소비의 약 47%를 미국이 차지, 유럽이 30%,
.미국은 전 분야에 걸쳐서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고, 유럽은 특히 치료기기 분야에 강세, 일본은 초음파 진단기 및 내시경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특히 내시경은 전세계 시장의 80%를 독점).
3. 유망 시장
(1) 병원용
① 진단 : 영상진단기기
② 계측 및 모니터링 : 생체신호계측기기
③ 정보 관리 : 병원정보시스템
(2) 가정용/개인용
① 만성 질환 관리
② 재활 및 일상 생활 보조
③ 건강 관리
Ⅲ. 기업들의 대응 전략
.각 제품 및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
.병원용 분야는 이미 시장에 진출한 몇몇 소수 업체들의 지배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후발 주자의 입장에서 진입이 용이하지 않음
.가정용/개인용 분야는 이제 막 시장이 형성되는 단계라 미래 성장성이 높고, 병원용에 비해 경쟁 강도도 낮다는 점에서 주목, 기술 표준화 및 법·제도 기반이 취약하고, 이에 따라 아직까지 수익 모델이 제대로 검증되지 못한 측면.
--> 전자/IT 기업들이 헬스케어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유망성을 고려한 사업 아이템의 선정뿐 아니라, 필요 역량 확보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리스크 요인을 다각도로 검토하여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
● 핵심 기술 역량의 확보
● 다양한 수익 모델의 발굴
● 관련 법/제도에 대한 이해와 대응
Ⅳ. 시사점
-국내 중소기업은 영세성으로 인해 국내 헬스케어 기기/시스템 산업의 국제 경쟁력은 매우 낮음
-과거 전문 의료기기 업체들의 실패는 영세한 규모, 자금 부족, 연구개발 인력 부족이라는 구조적 문제에 기인
-국내 전자/IT 업체들이 헬스케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할 것
--> 내수 시장에서는 다양한 시장 기회가 창출될것으로 예상되는 의료정보시스템 및 중개서비스 중심으로 접근하고, 해외 시장에서는 선진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부품 및 센서 등 H/W 중심의 개발을 타진하는 것이 일차적인 접근 방식
련 사업 기회가 등장하고 있다. IT, NT, BT 기술의 진전은 첨단 기기 및 다양한 서비스를 실제로
구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전자/IT 기업들 또한 미래의 성장성을 인
식하고 헬스케어 관련 사업 진출을 타진하고 있다.
전자/IT 기업들이 진출 가능한 헬스케어 기기 및 시스템 시장은 영상진단기기, 생체신호계측기
기, 각종 정보시스템 등 병원용 분야와 만성 질환 관리, 재활 및 일상 생활 보조, 일반인들의 건강
관리 등 가정용/개인용 분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Ⅰ. 왜 헬스케어 시장에 주목하고 있는가
1. 수요층의 다양화
- 의료서비스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출산율 감소와 평균수명 증가로 고령 인구 및 만성 질환자의 비율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서 의료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
.고령화가 이미 상당히 진행된 미국, 일본, 유럽이 전세계 의료기기 시장의 84%를 차지
.의료 소비자의 관련 지식 향상으로 보다 고품질의, 맞춤형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의료서비스의 성격을 변화
--> 기존의 의료서비스가 의료기관(병·의원) 중심이라면, 미래의 의료서비스는 의료 소비자(환자) 중심으로 변화, 확대
--> 수요층이 가정과 개인으로 확대
2. 기술 혁신
3. 정책적 지원
Ⅱ. 헬스케어 기기/시스템 시장 현황
의료기기는 지식경제부의 산업기술분류 기준에 따라 생체신호기기, 의료영상기기,생체재료/기기, 재활 및 복지 의료기기 등 11개 군으로 분류된다
의료영상진단기 : 엑스선촬영장치, CT, MRI, PET, 초음파촬영장치 등
생체신호계측기 : 심전계, 뇌파계, 환자감시장치 등
가정용의료기 : 전자혈압계, 혈당측정기 등
재활 및 보조장치 : 전동휠체어, 초음파지팡이 등
인공장치 : 감각, 순환계, 기타 인공장기 등
영상의료정보시스템 : PACS, EMR 등
1. 산업의 특성
.전자공학·기계공학·물리학·화학 등 공학기술과 의학·생리학 등의 의학기술이 복합되어 구현되는 특성
.소량 전문 제품 위주의 생산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
--> 이는 곧 사업을 성공할 경우에는 수익 창출이 가능하나, 그만큼 투자 위험도 큰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전성의 확보가 매우 중요
.유효성에 대해서도 엄격한 평가 기준
.헬스케어 기기/시스템 산업은 다양한 기술의 융복합 시도 및 첨단 기술 운영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고, R&D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의 회수가 가능한 선진국 등의 시장에서 주도
.자금력, 연구개발 인력의 확보 및 산업계-학계-의료계의 제휴가 매우 중요
2. 시장 규모
.세계 생산 및 소비의 약 47%를 미국이 차지, 유럽이 30%,
.미국은 전 분야에 걸쳐서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고, 유럽은 특히 치료기기 분야에 강세, 일본은 초음파 진단기 및 내시경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특히 내시경은 전세계 시장의 80%를 독점).
3. 유망 시장
(1) 병원용
① 진단 : 영상진단기기
② 계측 및 모니터링 : 생체신호계측기기
③ 정보 관리 : 병원정보시스템
(2) 가정용/개인용
① 만성 질환 관리
② 재활 및 일상 생활 보조
③ 건강 관리
Ⅲ. 기업들의 대응 전략
.각 제품 및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
.병원용 분야는 이미 시장에 진출한 몇몇 소수 업체들의 지배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후발 주자의 입장에서 진입이 용이하지 않음
.가정용/개인용 분야는 이제 막 시장이 형성되는 단계라 미래 성장성이 높고, 병원용에 비해 경쟁 강도도 낮다는 점에서 주목, 기술 표준화 및 법·제도 기반이 취약하고, 이에 따라 아직까지 수익 모델이 제대로 검증되지 못한 측면.
--> 전자/IT 기업들이 헬스케어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유망성을 고려한 사업 아이템의 선정뿐 아니라, 필요 역량 확보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리스크 요인을 다각도로 검토하여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
● 핵심 기술 역량의 확보
● 다양한 수익 모델의 발굴
● 관련 법/제도에 대한 이해와 대응
Ⅳ. 시사점
-국내 중소기업은 영세성으로 인해 국내 헬스케어 기기/시스템 산업의 국제 경쟁력은 매우 낮음
-과거 전문 의료기기 업체들의 실패는 영세한 규모, 자금 부족, 연구개발 인력 부족이라는 구조적 문제에 기인
-국내 전자/IT 업체들이 헬스케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할 것
--> 내수 시장에서는 다양한 시장 기회가 창출될것으로 예상되는 의료정보시스템 및 중개서비스 중심으로 접근하고, 해외 시장에서는 선진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부품 및 센서 등 H/W 중심의 개발을 타진하는 것이 일차적인 접근 방식
'telling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IT 산업의 미래... (0) | 2010.03.15 |
---|---|
아이패드, 그 힘은... (0) | 2010.02.04 |